 |
부당 해직된, 전 서울대 김민수 교수의 3 차례에 걸친 연구실적 심사들
(* 평균 '우'이상을 받아야 적격 => 재임용 요건 200% 충족*)
|
| 내부인사 1
| 내부인사 2
| 외부인사
|
<1차>
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 (부적격)
|
'우' 심사위원 A |
'우' 심사위원 B |

'미'
심사위원 C* |
21세기 한국 디자인 교육의 대전제
(부적격)
|
'미' 심사위원 A |
'우' 심사위원 B |

'양'
심사위원 C |
<2차>
시각예술의 측면에서 본 이상시의 혁명성 (적격, 100%)
|
'우' 심사위원 A |

'미'
심사위원 C |
'수' 심사위원 D |
광고이미지에 나타난 키치적 속성과 문화적 상징성의 해석 (부적격)
|
'양' 심사위원 A |

'미'
심사위원 C |
'수' 심사위원 D |
<3차>
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
(적격, 100%)
|

'우'
심사위원 E |
'수' 심사위원 F |
'우' 심사위원 G** |
21세기 한국 디자인 교육의 대전제
(부적격) |

'우'
심사위원 E |
'우' 심사위원 F |
'미' 심사위원 G** |
* 저서에 있지도 않은, 5장을 언급한 심사표
** 논란이 되고 있는 K 교수
(최순영의원 필적 감정의뢰 결과,
현 미대학장 권영걸 교수 필적과 유사)
* 출처: 김민수 교수 복직 대책위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