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인만 강의 I의 숨겨진 연관성
김명호, 오필열(ploh@skku.edu) 2024.2.1-

은 수학적 다양체 - 리만

요약

파인만은 강의 I에서 자연 현상 설명하기 위한 물리 이론, 즉 simulation이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가를 수학의 '양적' 기술 측면을 기막히게 활용하여, 알기쉽게 설명하였다, 모순되는 관찰로부터 받아들여야만 했던 로렌쯔 수축 => $E=mc^2$, cutoff 함수 => 플랑크 상수, 양자역학 등.
그리고 어김없이 기회마다 전자의 point particle 취급, 전자파 resistance 등 simulation의 가설 이론들의 께름칙한 모순들을 숨김없이 드러내 보여줬다.
여기 이 짧막한 메모는, 파인만의 생각 흐름에 충실히 따라
그 원인이 양적 계산에 치중하고 '기학하적' 구조감안하지 않은 결과임을 색깔 분류 등 예로 입증한다.

1. 입자에 대한 관점
직관 요점적으로 얘기하면
우리가 보고 느끼는 3차원 세상은 고차원 projection이고, 입자의 이중성, 편광이란 것들은 장님 코끼리 만지듯이, 어느 한 측면으로만 보고 논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거.
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 궤도가 한 평면에 있지 않듯이, 빛의 동선은 4차원 다양체에서 노는 action*, 동양에서 '기(氣)'라고 부르는 움직임들의 flow, 그 flow만드는 기하학적 구조 측면을 보아야 한다는 거다
* 에너지, 움직임, 기와 같은 의미로 혼용

% 기들이 만드는 다양체를 위한 참조 영상들
물고기 떼들이 만드는 입체(물고기를 로 보고)

이러한 관점에 들어맞는 법칙과 파인만의 암시적인 묘사들
(1) 에너지, 운동량 등의 보존 법칙들
(2) 스크린에 그림 그리는 화가
(3) 다른 차원 넘나드는
(4) polarization

2. 색깔: 빛이 3개의 orientable 4차원 다양체, $CP^2, S^2\times S^2$와 $S_t$(= the orientable twisted $S^2$ bundle over $S^2$) 위에서 흐르는 움직임들, 즉 sensation

섯다나 포카에서 패를 쪼며 원하는 패가 들어왔음을 보았을 때 짜릿함, 소름 끼쳤을 때 뭔가 등을 타고 흐르는 걸 느낀다, 그리고 그 sensation... 뭔가 흐르는 그 움직임들이, 상황에 따라 만드는 경로 등 어딘지 모르게 다르다는 걸 감으로 안다.
여기서 얘기하고자 하는 것이 그 경로가 만드는 기하하적 구조와 색깔이 만드는 sensation의 연관 대응성이다, intuitively.

(1) 빛은 맥스웰 방정식에 의하여 전자기 $E, B$ 2개의 circular action, 즉 $T^2=S^1\times S^1$ 액션을 갖는데, 파인만은 그 중 하나인 전기장의 circular action의 projected된 근사식 $E(t)={\text{상수}}\times \cos(\omega(t-r/c)+\phi)$로

간섭, 굴절, 편광 등 빛의 많은 현상을 성공적으로 설명하였다.
이와 같은 접근 방법으로 투사된 것을 1개 => 2개 action들로 넓혀 들여다 보면

(2) 눈에 투사된 빛의 data 표현, 4차원 다양체 $M$의 orbit space $M/{T^2}$와 그 분류

① 인간은 3차원에 살고 있지만 눈에 투사되는 것은 2차원이고 거기에 투사, 즉 포개진 $E, B$ action 정보들 포함한 것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은 원판들 모임이고
옆의 표시들은 투사/포개진 정도를 나타내는 $T^2$의 subgroup들로서
1. $f^*_i$: $T^2$에 의해 고정 즉 움직이지 않는 점
2. $(m_i, n_i)$: circle subgroup
3. 원판 내부는 포개지는 것이 없는 부분

* 자세한 것은 참고 문헌 2

② 느끼는 sensation은, 위 원판 정보들이 육체에 갇혀있거나 매어있는 움직임들에 의해 재현된 것으로, 수학적 표현으로 blowup된 그 4차원 manifold들은 Orlik과 Raymond에 의하면(참고 문헌 2),
1) $CP^2, S^2\times S^2$, $S_t$의 합으로 equivarianly(물리적으로 resonantly) 분류되고
2) $-CP^2$($CP^2$ with reverse orientation) 포함되어 있다는 거
3) $CP^2\#(-CP^2)\#CP^2$=$S^2\times S^2\#CP^2$처럼 connected sum이 유일하지 않단다
이는

(3) $R, G, B$(빨강, 녹색, 파랑)의 색 조합 실험에 의하면
① 모든 색은 수학적인 $aR+bG+cB$으로 표할 수 있고
② a, b, c 중 하나는 반드시 음수이어야 한다는 것
③ 색을 만드는 조합이 유일하지 않다는 것과 기막히게 대응된다

% 대응 비교표
움직임들이 만드는 4차원 다양체색깔
$CP^2, S^2\times S^2$, $S_t$ 빨강 R, 녹색 G, 파랑 B
$aCP^2\#bS^2\times S^2 \#cS_t$$aR+bG+cB$
$-CP^2$, $-$ 는 거꾸로 도는 것으로 에너지 감소a,b,c 중 하나는 반드시 음수
유일하지 않은 connected sum유일하지 않은 색 조합
equivariantly, 같게 변화resonantly, 같은 자극

3. 그 밖에
새로운 입자 관점을 적용해보면(참조: specific heat)

(1) 원자의 angular momentum
리튬은 spin of three-halves, 전자 3개를 갖는다고 한다. 전자가 움직이며 만드는 4차원 다양체를 $CP^2$라고 하면, 리튬의 앵귤라 모멘텀이 간단히 설명된다. 다시 말해서, $CP^2$와 $-CP^2$ 조합으로
$3CP^2$, $CP^2$+$CP^2$+$-CP^2$=$CP^2$, $CP^2$+$-CP^2$+$-CP^2$=$-CP^2$, $-CP^2$+$-CP^2$+$-CP^2$=$-3CP^2$ $CP^2$에 $\frac12$대입하면, $\frac32, \frac12, -\frac12, -\frac32$

(2) meson의 2가지 분해
실험 수치상 같은 입자로 추정되는데, 2가지 다른 방법으로 disintegrate 분해되는 $\theta, \tau$ 메손이 있다고 한다. 이것 또한 action 다양체의 connected sum이 유일하지 않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.
덧붙여, $S_t$와 $CP^2\#-CP^2$ topologically 같다. 좀 더 자세히 말하면, $S_t$ is diffeomorphic $CP^2\#-CP^2$, but not always equivariantly diffeomorphic(참조 문헌 2).

참고 문헌
1. 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, Volume I
2. P. Orlik and F. Raymond, Actions of the torus on 4-manifols I